BK21

사업성과

[논문] [참여교수] 조규락 (2020)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집단창의성 연구동향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N

No.461726
  • 작성자 김진실
  • 등록일 : 2021.02.09 12:45
  • 조회수 : 339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집단창의성 연구동향 분석

 

A Study on Research Trend on Group Creativity through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0, vol.26, no.4, pp. 743-769 (27 pages)

 

DOI : 10.15833/KAFEIAM.26.4.743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김선연 / Kim Sun Yun 1 , 조규락 /Cho Kyoo-lak 2

1영남대학교

2영남대학교

 

KCI등재

 

초록

 

본 연구는 집단창의성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집단창의성 연구논문에서 추출한 키워드 간의 관계성의 구조와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서 2003년부터 2019년까지 집단창의성 관련 총 554편의 논문을 검색해내고 971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그런 후에 먼저 554편의 연구논문의 연도별, 학문분야별 현황을 분석하였고, 텍스톰(Textom)과 노드엑셀(NodeX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추출한 키워드의 빈도 분석과 키워드 간의 동출현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1-mode 매트릭스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창의성 연구는 2016년 이후 다소 감소하지만 전반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교육학 분야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키워드 빈도 분석에서 ‘창의성’, ‘프로그램’, ‘유아’, ‘집단창의성’, ‘영재’, ‘과학’, ‘교육’ 등이 자주 출현하는 키워드였고, 동출현 빈도 분석에서는 유아-창의성, 창의성-프로그램, 창의성-교육, 활동-창의성, 교육-프로그램 등이 동시에 자주 출현하는 키워드였다. 셋째, 의미연결망 분석은 집단창의성을 4개의 클러스터로 분류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클러스터1(G1)은 유아의 집단 활동을 통한 감성지능이라는, 클러스터 2(G2)는 과학 초등영재에 대한 문제해결력 및 집단창의성이라는, 클러스터 3(G3)은 유아교사의 창의성 교육을 통한 창의적 인성이라는, 마지막으로 클러스터 4(G4)는 STEAM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창의적 능력 및 성격이라는 특징을 가진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수업의 시사점과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 among key words abstracted from research articles of group creativity in order to find out research trend on group creativity. For doing this, the study searched for the total of 554 KCI (Korea Citation Index) articles related to group creativity and abstracted the total of 971 key words from 2003 to 2019. Then, the study conducted 1) the status quo analysis of the 554 articles depending on year and fields, 2) the frequency analysis among the abstracted 971 key words and the co-occurrence frequency analysis among the key words, and 3)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ith 1 mode matrix. Textom and NodeXL program were used for the analyse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atus quo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group creativity research appears to decrease since 2016 but appears to increase overall and that group creativity research were conducted most actively in the field of education. Second,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co-occurrence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creativity’ ‘program’ ‘infant’ ‘group creativity’ ‘child prodigy’ ‘science’ ‘education’ etc. were frequently occurred key words and ‘infant-creativity’ ‘creativity-program’ ‘creativity-education’ ‘activity-creativity’ ‘education-program’ etc. were frequently co-occurrence key words. Third, the semantic analysis revealed that group creativity can be classified into 4 clusters. It appears that cluster 1 (G1) has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infant’s group activity; cluster 2 (G2) has characteristics of problem solving and group creativity on science child prodigy; cluster 3 (G3) has characteristics of creative humanity through creativity education of infant teachers; cluster 4 (G4) has characteristics of creative ability and character through STEAM education program. With these findings, the study offered instruc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