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K21

사업성과

[논문] [참여교수 I 참여대학원생] 이윤주 I 강수민(2022) 대학생 대상 구성주의 진로집단상담에서 온라인 화상회의 방식과 대면 방식의 효과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 N

No.1679337
  • 작성자 장휘창
  • 등록일 : 2022.03.02 14:22
  • 조회수 : 264

대학생 대상 구성주의 진로집단상담에서 온라인 화상회의 방식과 대면 방식의 효과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effect of video conference and face-to-face in group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for university student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 vol.22, no.3, pp.197-213(17 pages)


DOI : 10.22251/jlcci.2022.22.2.197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강수민(Soomin Kang) ;  문명현(Myunghyun Moon) ;  이윤주(Yoonjoo Lee)


초록


목적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바이러스의 대유행으로 온라인 상담이 점차 확대되는 상황에서 온라인 화상회의방식을 활용한 구성주의 진로집단상담의 효과를 대면방식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경북 소재 대학교 진로 교양수업에서 구성주의 진로집단상담을 대면과 온라인 화상방식으로 9회기 총 15시간 진행하고 참여 대학생 82명에 대해 성과변인으로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탄력성의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진로집단상담은 구성주의진로이론의 커리어스토리 인터뷰를 기반으로 하였고, 대면방식 집단은 42명, 온라인 화상 집단은 40명의 대학생이 참여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먼저 구성주의 진로집단상담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온라인 화상집단과 대면집단 모두에 공히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분석 결과 대면집단의 ‘변화대처’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진로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인의 사전사후 점수의 변화는 온라인 화상 집단과 대면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활용한 구성주의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면과 온라인 화상회의 집단 모두 대학생이 환경 변화에 대처하면서 자신의 진로의미를 발견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 특히 온라인 화상 집단의 경우는 팬더믹 상황에서 갑작스러운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이 반영되었다. 온라인 화상 방식의 진로집단상담이 대면방식과 동일한 효과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확인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이나 청소년 상담 현장에서 온라인 화상 구성주의 진로집단상담 추진의 실증적 근거를 제시한 의의를 지닌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by comparing the effects of group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between video conference and face to face, because untact counseling services were expending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VID-19. Methods In a career course as liberal art in the university located in Gyeongbuk provience, group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carried out face to face and video conference for total 15 hours in 9 sessions, and the participants were 82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pre-post test scores of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set as outcome variables and analyzed. In this study, group counseling was based on career story interview from career construction theory. Of the group counseling participants, 42 students participated in face to face group and 40 students participated in video conference group. Results As the result, group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ive in improving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both online conference and face-to-face. Second, it is effective in improving all factors except for coping with changes of the face-to-face.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re-post test scores changes between online video conference and face-to-face, which was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cluding all factors. Conclusions Group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effective in both face-to-face and video conference helping university students discover the meaning of their careers coping with environmental changes. Moreover, the effect of video conference group was reflected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sudden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pandemic situ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was examining the same effect of online video conference group career counseling as face-to-face for university students, it was meaningful to present empirical evidence that can activate online video conference group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for university students and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