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K21

사업성과

[논문] [참여교수] 김재춘 (2021) 들뢰즈의 ‘감각을 그리는 활동’으로서의 회화 예술과 교육의 관계: 『감각의 논리』를 중심으로: 교육철학연구43(3) N

No.1679275
  • 작성자 장휘창
  • 등록일 : 2022.03.02 08:53
  • 조회수 : 237

들뢰즈의 ‘감각을 그리는 활동’으로서의 회화 예술과 교육의 관계: 『감각의 논리』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Gilles Deleuze’s Painting the Sensation - Focusing on The Logic of Sensation


교육철학연구


2021, vol.43, no.3, pp. 29-57 (29pages)


DOI : 10.15754/jkpe.2021.43.3.002


김재춘 / Gim Chae-chun

영남대학교


KCI 등재


초록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감각의 논리』에 나타난 들뢰즈의 ‘감각을 그리는 활동’으로서의 회화예술이 어떤 의미와 특징을 지니는지 밝히고, 이런 감각을 다루는 예술활동이 교육과 어떤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작업을 수행하였다. 첫째, 들뢰즈가 말하는 감각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지각체들과 정감들의 복합체’로서의 감각이 지닌 특징을 분석하였다. 들뢰즈가 말하는 감각은 현실 차원에서 우리가 경험하는 피상적인 감각이라기보다는 그런 피상적인 감각 이면에 존재하면서 그런 감각을 생산해내는 심층적인 차원에 거주하는 감각임을 밝혔다. 둘째, 베이컨의 감각을 그리는 회화활동이 어떻게 가능하며, 그 특징은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감각을 그리려는 베이컨은 전통적인 재현회화와 현대의 추상회화 추상표현회화와는 다른 제3의 길로 형상회화라는 새로운 유형의 예술을 창조했다. ‘감각적 닮음’을 그리는 형상화가는 현실화되어 드러난 특정 얼굴을 그리는 ‘얼굴의 화가’라기보다는 변이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얼굴로 드러날 수 있는 머리를 그리는 ‘머리의 화가’임을 논의하였다. 셋째, 들뢰즈의 사유의 형식으로서의 예술이 어떤 의미와 특징을 지니는지 탐색하였다. 사유의 형식으로서 ‘무한을 복원시키는 유한을 창조’하는 예술은 카오스로부터 한 줌의 신성한 공기를 받아들여 카오스를 품는 코스모스 즉 카오스모스를 구성하려는 활동임을 밝혔다. 넷째, 들뢰즈의 감각을 그리는 회화예술과 교육의 관계를 탐색하고, 들뢰즈의 예술론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들뢰즈의 감각 예술론과 ‘감각들의 교육(학)’은 현 시점의 감성으로 감각할 수 없는 것을 감각할 수 있도록 주체가 지닌 현재의 감성을 와해시키고 새로운 차원의 감성을 생성해낸다는 점에서 예술과 교육이 동형적 관계를 맺고 있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Deleuze’s act of “painting the sensation” in The Logic of Sensation and to explore how the act of painting the sensation can relate to education. First,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sensation as “a compound of percepts and affects” to clarify the meaning of Deleuze’s sensation. This paper discusses how Deleuze’s sensation is not the superficial sense but is, rather, a sensation as a potential entity that exists in depth behind the superficial and, at the same time, produces the superficial. Second, it explores how Bacon paints the sensation and what its characteristics are. Bacon, who seeks to paint the sensation, paints the Figure by creating a third way of painting. The Figure painter who “creates resemblance, but through non-resembling means” is not “a painter of faces” but, rather, “a painter of the heads.” Third, it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art as a form among Deleuze’s three great forms of thought. Art as a form of thought creating the finite that restores the infinite is interpreted as letting in a breath of air from the chaos into the cosmos, therefore constituting a chaosmos. Deleuze and Bacon’s sensation is not fixed into one particular form but is instead a sensation of multiplicity that can potentially be actualized as various forms depending on changing conditions. Fourth, Deleuze’s sensation shows the importance of creation not only in art but also in education. Education is an eternally recurrent movement of both destructing the current level of sensation and creating a new dimension of sensation, and Deleuze employs the terms “education of the senses” and “pedagogy of the senses” to show the importance of creation, compared to imitation and representation, in education.